Synology vs Xpenology 활용성 비교

나의 경우 회사에서는 Synology, 집에선 Xpenology를 사용하고 있다.

집에서 Xpenology 구축후 Synology가 가진 장점이 너무 많아서 회사에 Storage 서버용으로 도입해 사용 중이다.

 

개인적으로 Xpenology 와 Synology 에 활용성에 차이도 있고 비교가 필요할 거 같아 적어 보고자 한다.

 

Xpenology 의 장점

  • 기계적인 제약이 없다.(남아도는 PC, 새롭게 만든 PC, 하드를 최대한 많이 넣기 위한 PC, 모든 PC에서 사용 가능하다)
  • 장비 구축에 있어 저렴하다.(나의 경우 블로그에서 밝혔지만, 들어간 돈이 $200 정도 된다. 만약 구형 PC를 사용하는 경우 돈이 안들어 갈수도 있다.)
  • 하드 12개까지는 마음대로 하드를 늘릴수 있다.(케이스만 하드 수용이 가능하다면 12개의 하드를 사용할 수 있다.)
  • 많은 USB 3.0 포트를 사용할 수 있다.
  • 원하는 모양의 케이스로 만들수 있다.(Synology 케이스 모양이 더 좋다고 생각될 수도 있지만 멋진 케이스를 구입해서 Xpenology로 제작할 수도 있다. 2번째 Xpenology를 만들때 고려한 사항이었다. 멋진 케이스에 동작하는 NAS, 집안 분위기도 달라질수도 있고, 여러모로 고려했지만, 그놈의 돈이 문제라 포기)

 

Xpenology 의 단점

  • DSM 업뎃시 필히 Forum을 먼저 뒤져 봐야 한다.(업뎃후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업뎃이 잘 안될때가 있다.(가끔 업뎃시 에러가 발생해서 업뎃이 안된다는 메세지가 뜨곤 한다.)
  • USB 부팅이 잘 안될때가 있다.(가끔 부팅후 한참을 기다렸는데도 접속이 안되는 경우 다시 리셋한 경우가 몇번 있다.)
  • 하드 넣고 빼고가 쉽지 않다.(물론 NAS 전용 케이스를 구입한 경우라면 쉽겠지만, 일반 PC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케이스 열어서 하드 넣고 빼고 해야 한다. 하지만 초기 셋팅때만 하는 작업이라 하드 빼고 넣고 많이 할 일은 없다.)
  • 케이스가 Compact 하지 못하다.(아무리 Mini ITX를 사용한다고 해도, Synology Case 만큼 작아지기가 힘들다)
  • 가끔 모니터를 연결. (부팅때 바이오스를 들어가 봐야 하는 경우가 있다. 부팅 USB 설정할때 모니터를 연결해야 한다. 가끔 NAS에 모니터 연결하는게 짜증날때가 있다.)
  • 인터넷 포트가 1개가 기본(추가할 수도 있지만 개인적인 용도라면 추가해서 사용할 일이 별로 없다)

 

 

Synology의 장점

  • DSM 업뎃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바로 바로 업뎃해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 하드를 빼고 넣기가 너무나 쉽다.
  • 5베이용, 8베이용의 경우 인터넷 포트가 4개가 있다.(1515+ 모델, 1815+ 모델)
  • 많은 인터넷 포트로 Link Aggregation 기능을 사용할수 있다.
  • 10Gb 포트를 가지고 있는 있는 모델이 있다.
  • 확장 유닛을 추가할 수 있다.(하드 용량이 부족할 경우 하드를 용량이 더 큰 하드로 바꿔주면 되지만 그것도 여의치가 않다면, 확장 유닛을 구입해서 확장 유닛포트에 연결만 해 주면 된다)
  • 모니터를 연결할 필요가 없다.(모니터를 연결할 수도 없다. ㅋㅋ)
  • HA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두개의 하드웨어가 똑같이 구성되면 HA를 사용할 수 있다.)

 

Synology 의 단점

  • 일단 너무 비싸다.(5베이 용이 $650, 8베이 용이 $750, 물론 하드 값은 제외한 값이다.)
  • 사양을 마음대로 업글하지 못한다.(CPU 같은 경우 업글이 불가능하다. 메모리는 가능)

 

Synology의 경우 단점이 별로 없다. 비싸다는 것과 하드웨어 업글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 외에는 단점이 없다.

하지만 가격은 일반인에게 가장 치명적인 단점이라고 할수 있겠다. 하지만 기업 입장에선 그리 치명적이지 않다.

안전한 데이터와 확장성 있는 하드 용량 확보를 위해 $1000, $2000은 쉽게 지불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개인적인 용도라면 약간의 수고로 Xpenology를 사용해서 NAS를 구축하고,

기업이라면 Xpenology 보다는 확장성과 사용성에 더 장점이 많은 Synology를 구입해서 사용하는 것이 낫다고 본다.

14 comments for “Synology vs Xpenology 활용성 비교

  1. April 1, 2017 at 3:24 pm

    Great post! We will be linking to this great
    article on our website. Keep up the good writing.

    • isungwook
      April 1, 2017 at 3:43 pm

      Thank you. ^^

  2. 나스초보
    December 9, 2017 at 8:07 pm

    안녕하세요 요즘 NAS에 대해서 관심이 생긴 초보입니다. 시놀로지를 살지 헤놀로지로 자작NAS 를 시도해 볼지 망설이고 있는데요. 혹시 헤놀로지로 NAS를 구성하려고 할때 처음 세팅 과정이 매우 어려운지 그리고 세팅 후에 사용 중 수년이후에는 업데이트가 전혀 불가능해져(예. 원도우즈의 xp 등 시놀로지 회사에서 일부러 보안패치나 연동을 못하게 하는 경우) 헤놀로지로 제작한 NAS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도 가능한지 문의드립니다.

    • isungwook
      December 11, 2017 at 5:24 pm

      안녕하세요. 제가 Synology 정품 한대, 그리고 Xpenology 한대 이렇게 집에서 사용 중인데요, Xpenology의 경우에 거의 한 3년 정도 쓰고 있는데, 전혀 문제 없이 사용 중입니다. Xpenology의 경우 아직 5.2 버전을 사용중이고, 업데이트를 안하고 있지만 사용하는데는 전혀 문제가 없는 상황입니다. 사용하는 기능만 계속 사용 중이라, 특별히 업데이트를 안해도 사용상에 문제는 전혀 없습니다. 도움이 될만한 정보인지 모르겠네요. 혹시 더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 달아주시면 제가 아는 정보면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3. 내부이용
    December 11, 2017 at 6:04 pm

    직접 나스를 구성하여 집에서만 사용하려고 합니다 (외부 접속하지 않고). 맥북 타임머신 및 애플티비를 통한 영상시청을 목적으로요.
    헤놀로지를 외부 이용시 시리얼 문제가 있는듯 한데, 집 내부에서만 이용할 시에는 시리얼문제가 없는지 궁금하네요.

    • isungwook
      December 11, 2017 at 7:35 pm

      안녕하세요. 헤놀로지 NAS를 집에 두개를 둘 경우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헤놀로지 Boot용으로 사용하는 ISO가 같은 시리얼 번호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한개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문제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하지만 헤놀로지의 경우 집에 한개만 사용하더라도 QuickConnect 기능은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그 외 모든 기능은 Synology 정품과 동일합니다. ^^

  4. February 26, 2018 at 6:26 pm

    I just want to say I am just newbie to weblog and certainly loved your web site. Very likely I’m planning to bookmark your site . You really have great article content. Thank you for sharing with us your web page.

  5. March 1, 2018 at 2:13 am

    Howdy! I simply would like to give a huge thumbs up for the good data you have here on this post. I will probably be coming again to your weblog for more soon.

  6. March 2, 2018 at 6:57 am

    Hello There. I found your blog using msn. This is a very well written article. I’ll make sure to bookmark it and come back to read more of your useful information. Thanks for the post. I’ll definitely comeback.

  7. March 2, 2018 at 10:34 am

    What i do not realize is actually how you are no longer really much more neatly-appreciated than you might be right now. You are so intelligent. You already know therefore considerably in relation to this matter, made me in my view believe it from so many numerous angles. Its like men and women don’t seem to be fascinated unless it¡¦s one thing to do with Woman gaga! Your own stuffs outstanding. Always deal with it up!

  8. March 2, 2018 at 11:54 am

    You could definitely see your enthusiasm within the paintings you write. The arena hopes for more passionate writers like you who aren’t afraid to mention how they believe. All the time follow your heart.

  9. March 2, 2018 at 4:04 pm

    Thanks a bunch for sharing this with all people you really realize what you are speaking about! Bookmarked. Please additionally discuss with my site =). We will have a link exchange agreement among us!

  10. March 2, 2018 at 5:01 pm

    I intended to create you this bit of note to say thanks a lot again relating to the superb techniques you’ve provided in this case. It was so open-handed of you to convey without restraint what exactly most people could have distributed as an ebook in making some dough for their own end, most importantly considering the fact that you might have tried it if you ever desired. Those tips in addition acted to provide a great way to comprehend other individuals have similar fervor the same as mine to know somewhat more when it comes to this matter. I’m certain there are numerous more pleasurable instances up front for folks who looked over your blog post.

  11. March 3, 2018 at 1:09 am

    As a Newbie, I am always searching online for articles that can aid me. Thank you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